십대를 위한 코딩 79

딕셔너리의 .items() 메서드는 어떻게 생겼을까?

🔹 딕셔너리의 .items() 메서드는 어떻게 생겼을까?.items()는 Python의 딕셔너리(dict) 메서드로,딕셔너리의 모든 키-값 쌍을 튜플 형태로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dict.items()dict.items()는 (key, value) 쌍을 포함한 뷰 객체(dict_items)를 반환합니다.반환 타입: dict_items([ (key1, value1), (key2, value2), ... ])보통 반복문(for)에서 활용하여 딕셔너리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1. .items()의 실제 동작 방식✅ 예제 1: 기본 사용법data = {"name": "Alice", "age": 25, "city": "London"}items_view = data.items() # .item..

객체 모델 다이어그램 설명 (Python 코드 구현)

📌 객체 모델 다이어그램 설명 (Python 코드 구현)주어진 객체 모델을 기반으로 학생(Student) 성적 관리 시스템을 Python으로 구현하겠습니다.1. 객체 모델 분석🔹 주요 클래스Student (Model - Entity)학생의 이름, 점수, 총점, 평균을 관리하는 클래스총점과 평균을 계산하는 메서드 포함StudentManage (Control)students 리스트를 관리하는 컨트롤러 역할학생을 추가하고 출력하는 기능 포함StudentUI (View)최대 학생 수(MAX) 정의학생 추가 및 성적 테이블을 출력하는 기능 포함2. Python 코드 구현class Student: """학생 정보를 저장하는 엔티티 클래스 (Model)""" def __init__(self, n..

파이썬의 내장형 클래스 쉽게 이해하기

🐍 파이썬의 내장형 클래스 쉽게 이해하기Python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타입(클래스)을 내장형 클래스(Built-in Types)라고 합니다.우리가 프로그램을 만들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숫자, 문자열, 리스트 등)를 저장하는 **그릇(타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 숫자형 (Numeric Types)숫자를 저장하는 타입✔️ 계산이 가능하며, 정수/실수/복소수 등으로 구분됨타입 설명 예시int정수형 숫자x = 10float실수형 숫자y = 3.14complex복소수 (허수 포함)z = 2 + 3j📌 예제 코드a = 5 # 정수(int)b = 2.5 # 실수(float)c = 3 + 4j # 복소수(complex)print(type(a), type(b), ..

파이썬 클래스의 캡슐화(Encapsulation)

🏛 파이썬 클래스의 캡슐화(Encapsulation) 설명캡슐화(Encapsulation)는 객체의 속성을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하고,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이러한 개념은 **데이터 은닉(Data Hiding)**과 정보 보호를 위해 사용됩니다. ✅ 1. 예제 코드 분석📌 사용자가 업로드한 코드(cat_age_with_setter_getter.py)를 보면, 캡슐화의 개념을 적용한 예제입니다.class Cat: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__name = name # ✅ 캡슐화: 변수 앞에 '__' 추가하여 비공개 속성으로 설정 self.__age = age def __str__(self): ..

파이썬 셸(Python Shell, REPL)과 IDLE 에디터(IDLE, 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파이썬을 실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두 가지 환경인 파이썬 셸(Python Shell, REPL)과 IDLE 에디터(IDLE, 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nment)는 사용 방식과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파이썬 셸 (Python Shell, REPL)✅ 개념REPL(Read-Eval-Print Loop) 방식으로 작동하는 인터랙티브 환경입니다.사용자가 입력한 코드를 즉시 실행하고 결과를 출력합니다.파이썬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터미널(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python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행됩니다.✅ 특징즉각적인 실행: 한 줄씩 입력하면 바로 실행되므로 테스트 및 디버깅에 유용합니다.기능이 제한적: 파일 저장 기능이 없고, 여러 줄 코..

객체(Object)와 인스턴스(Instance)의 차이점

📌 객체(Object)와 인스턴스(Instance)의 차이점객체(Object)와 인스턴스(Instance)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관점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인스턴스는 객체이지만, 모든 객체가 인스턴스는 아니다."✅ 1. 객체(Object)란?🔹 객체는 하나의 사물을 의미하며, 현실 세계의 개념을 프로그래밍에서 표현한 것🔹 상태(속성, 변수)와 행동(메서드, 함수)을 가지는 독립적인 존재🔹 클래스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고,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음📌 예제 (객체 개념)자동차 🚗 → 브랜드, 색상(속성), 주행(행동)강아지 🐶 → 이름, 나이(속성), 짖기(행동)학생 👩‍🎓 → 이름, 성적(속성), 공부하기(행동)🔹 프로그래밍에서 객체 예시car = {"brand"..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과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차이점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과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차이점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절차적 프로그래밍(Procedural Programming)**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코드를 구성하고 실행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1. 절차적 프로그래밍 (Procedural Programming)🔹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방식🔹 데이터를 중심으로 **함수(프로시저)**를 만들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 프로그램의 흐름을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함수 호출을 통해 모듈화 가능✨ 특징✔ 명령어 기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방식✔ 함수 중심: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프로시저)를 ..

[파이썬] 클래스와 객체(Class & Object)

🏛 클래스와 객체(Class & Object)파이썬을 포함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에서는 클래스(Class) 와 객체(Object) 개념이 핵심입니다.📌 1. 클래스란?클래스는 객체를 정의하는 틀(설계도) 입니다.예를 들어,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를 생각해 보면 됩니다.🔹 클래스는 속성(변수)과 메서드(함수)로 구성됩니다.🔹 클래스를 이용하면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객체를 쉽게 여러 개 생성할 수 있습니다.class Car: # 자동차 클래스 선언 def __init__(self, brand, color): # 생성자 (초기화 메서드) self.brand = brand # 속성 1 self.color..

[파이썬] range() 함수

range() 함수range() 함수는 연속적인 정수 범위를 생성하는 파이썬 내장 함수입니다. 반복문에서 숫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1. range() 함수 기본 문법range(start, stop, step)start (선택): 시작 값 (기본값 = 0)stop (필수): 포함되지 않는 종료 값step (선택): 증가 또는 감소하는 값 (기본값 = 1)✅ 2. range() 함수의 다양한 활용 예제📍 1) range(stop) – 기본 사용법 (start 생략)for i in range(5): print(i, end=" ") # 출력: 0 1 2 3 4🔹 start가 기본값(0)이며, 5 이전까지 반복됩니다.📍 2) range(start, stop)for i in ra..

[파이썬] default 인수와 keyword 인수 정리

📌 default 인수와 keyword 인수 정리 (Python) ✅ 1. default 인수 (기본값 인수)정의:함수에서 특정 인수의 값을 전달하지 않아도 기본값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방식.함수 정의 시 인수에 기본값을 설정하여 사용.오른쪽부터 왼쪽 방향으로 기본값을 부여해야 함. (즉, 기본값이 있는 인수 뒤에 기본값이 없는 인수가 올 수 없음.)📌 예제def greet(name="친구"): print(f"안녕하세요, {name}님!")greet() # 출력: 안녕하세요, 친구님! (기본값 사용)greet("철수") # 출력: 안녕하세요, 철수님! (전달한 인수 사용)✅ default 인수 규칙오른쪽부터 기본값을 부여해야 함.아래와 같이 기본값이 없는 인수 뒤에 기본값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