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nge()
함수
range()
함수는 연속적인 정수 범위를 생성하는 파이썬 내장 함수입니다. 반복문에서 숫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1. range()
함수 기본 문법
range(start, stop, step)
start
(선택): 시작 값 (기본값 = 0)stop
(필수): 포함되지 않는 종료 값step
(선택): 증가 또는 감소하는 값 (기본값 = 1)
✅ 2. range()
함수의 다양한 활용 예제
📍 1) range(stop)
– 기본 사용법 (start
생략)
for i in range(5):
print(i, end=" ") # 출력: 0 1 2 3 4
🔹 start
가 기본값(0)이며, 5 이전까지 반복됩니다.
📍 2) range(start, stop)
for i in range(2, 7):
print(i, end=" ") # 출력: 2 3 4 5 6
🔹 start=2
, stop=7
이므로 2부터 6까지 출력됩니다.
📍 3) range(start, stop, step)
– 증가 폭 지정
for i in range(1, 10, 2):
print(i, end=" ") # 출력: 1 3 5 7 9
🔹 step=2
로 설정하면, 1부터 시작해서 2씩 증가합니다.
📍 4) range()
를 이용한 리스트 변환
numbers = list(range(5))
print(numbers) # 출력: [0, 1, 2, 3, 4]
🔹 range()
를 list()
로 감싸면 리스트로 변환됩니다.
📍 5) range()
를 이용한 역순 반복 (step
을 음수로)
for i in range(10, 0, -2):
print(i, end=" ") # 출력: 10 8 6 4 2
🔹 step=-2
로 설정하면, 10에서 2씩 감소하는 패턴으로 출력됩니다.
📍 6) range()
와 len()
활용
names = ["Alice", "Bob", "Charlie"]
for i in range(len(names)):
print(f"{i}: {names[i]}")
# 출력:
# 0: Alice
# 1: Bob
# 2: Charlie
🔹 range(len(리스트))
를 사용하면 인덱스를 활용한 반복이 가능합니다.
🛠 실습 문제
range()
를 사용하여 3부터 30까지의 3의 배수를 출력하세요.range()
를 활용하여 리스트[5, 10, 15, 20, 25]
를 생성하세요.range()
를 이용하여 10부터 1까지 역순으로 출력하세요.
🎯 형성 평가
Q1. range(2, 10, 2)
의 출력 결과는?
Q2. range(5)
는 몇 개의 숫자를 포함하는가?
Q3. range(10, 0, -1)
을 실행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 실습 문제 정답
1. range()를 사용하여 3부터 30까지의 3의 배수를 출력하세요.
for i in range(3, 31, 3):
print(i, end=" ")
✅ 출력:
3 6 9 12 15 18 21 24 27 30
2. range()를 활용하여 리스트 [5, 10, 15, 20, 25]를 생성하세요.
numbers = list(range(5, 30, 5))
print(numbers)
✅ 출력:
[5, 10, 15, 20, 25]
3. range()를 이용하여 10부터 1까지 역순으로 출력하세요.
for i in range(10, 0, -1):
print(i, end=" ")
✅ 출력:
10 9 8 7 6 5 4 3 2 1
🎯 형성 평가 정답
Q1. range(2, 10, 2)의 출력 결과는?
✅ 답: 2 4 6 8
Q2. range(5)는 몇 개의 숫자를 포함하는가?
✅ 답: 5개 (0, 1, 2, 3, 4)
Q3. range(10, 0, -1)을 실행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 답: 10 9 8 7 6 5 4 3 2 1
'십대를 위한 코딩 > 십대를 위한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과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차이점 (0) | 2025.02.12 |
---|---|
[파이썬] 클래스와 객체(Class & Object) (1) | 2025.02.11 |
[파이썬] default 인수와 keyword 인수 정리 (2) | 2025.02.07 |
[파이썬] 매개변수와 전달인자의 차이 (1) | 2025.02.06 |
[파이썬] 함수의 유형 (2)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