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7

파이참(PyCharm)과 아나콘다(Anaconda)

파이참(PyCharm)과 아나콘다(Anaconda)파이참(PyCharm)과 아나콘다(Anaconda)는 파이썬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두 툴 모두 각각의 장점이 있어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선택하거나,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1. 파이참 (PyCharm)PyCharm은 JetBrains에서 개발한 파이썬 전용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파이썬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주요 특징강력한 코드 자동 완성 및 디버깅 기능: PyCharm은 코드 자동 완성과 디버깅 도구를 제공해 코드 작성과 디버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프로젝트 관리: PyCharm은 복잡한 프로젝트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구조를 지원합니다.가상 환경 관리: PyChar..

Jupyter Notebook에서 두 개의 셀을 하나로 합치는 방법

Jupyter Notebook에서 두 개의 셀을 하나로 합치는 방법Jupyter Notebook에서 두 개의 셀을 하나로 합치는 방법입니다.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명령 모드에서 셀 합치기셀 합치기를 원하는 두 개의 셀을 모두 선택합니다. 하나의 셀을 먼저 선택하고,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셀을 클릭하면 여러 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명령 모드(Command Mode)에서 Shift + M을 눌러 선택한 셀을 하나로 합칩니다.명령 모드는 Jupyter Notebook에서 파란색 테두리가 표시되는 상태입니다. 셀에 입력 커서가 없을 때 명령 모드에 있습니다. 만약 현재 편집 모드에 있다면 Esc 키를 눌러 명령 모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메뉴를 통한 셀 합치기먼저 합치고자 하..

Jupyter 노트북 매직 명령어

% 표시는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사용하는 매직 명령어(magic commands)에 속합니다. 매직 명령어는 일반적인 파이썬 문법과는 다르게, Jupyter 노트북이나 IPython 같은 인터프리터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한 명령어입니다. %와 %%로 시작하는 매직 명령어는 다양한 환경 설정을 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각화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매직 명령어는 라인 매직(line magic)과 셀 매직(cell magic)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1. 라인 매직(Line Magic)라인 매직은 한 줄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로, %로 시작합니다. 주로 특정한 기능을 빠르게 수행하거나 환경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matplotlib inline: matplotlib 그래프를 Jupyter 노트북에서 ..

주피터 노트북, 코랩과 아나콘다 사용상의 차이

주피터 노트북, 코랩과 아나콘다 사용상의 차이주피터 노트북을 구글 코랩과 아나콘다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각기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1. 접근성 및 설치구글 코랩 (Google Colab)접근성: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설치: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구글 계정만 있으면 됩니다.업데이트: 항상 최신 버전의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나콘다 (Anaconda)접근성: 로컬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용합니다.설치: 아나콘다 배포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초기 설치와 환경 설정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업데이트: 수동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며, 설치된 패키지의 호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2. 하드웨어 자원구글 코랩 (Google Cola..

[파이썬 연습] 주피터 노트북 단축키

주피터 노트북 단축키Jupyter Notebook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다음은 Jupyter Notebook의 주요 단축키 정리입니다.명령 모드 (Command Mode) 단축키Enter: 편집 모드로 전환Shift + Enter: 셀 실행 및 다음 셀로 이동Ctrl + Enter: 셀 실행 후 현재 셀에 머무름Alt + Enter: 셀 실행 후 아래에 새로운 셀 추가Y: 코드 셀로 변경M: 마크다운 셀로 변경1: 헤딩 1로 변경2: 헤딩 2로 변경3: 헤딩 3로 변경4: 헤딩 4로 변경5: 헤딩 5로 변경6: 헤딩 6로 변경A: 위에 셀 추가B: 아래에 셀 추가X: 현재 셀 잘라내기C: 현재 셀 복사V: 아래에 셀 붙여넣기Shift + V: 위에 셀 붙여넣기D..

Pandas와 NumPy의 비교

Pandas와 NumPy의 비교Pandas와 NumPy는 모두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위한 파이썬의 중요한 라이브러리로, 각각의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아래에서 주요 차이점과 특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1. 기본 용도NumPy: 주로 수치 데이터 계산 및 다차원 배열 처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빠른 배열 연산을 지원하며 선형대수, 푸리에 변환, 난수 생성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Pandas: 구조화된 데이터(예: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Series와 DataFrame이라는 고수준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용이하게 합니다.2. 데이터 구조NumPy: 다차원 배열(주로 ndarray)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타입(예: 정수, 부동소수점 숫자 등)을 ..

[파이썬 내장 함수] 복소수 생성, complex()

복소수 생성, complex()파이썬의 내장 함수인 complex()는 복소수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복소수는 실수(real)와 허수(imaginary) 부분으로 구성된 수로, 수학에서 복소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a + bj 여기서 a는 실수 부분, b는 허수 부분이며, j는 허수 단위로서 'j2 = -1'을 의미합니다. complex() 함수의 사용 방법 complex(real, imag) real: 실수 부분. 기본값은 0입니다. imag: 허수 부분. 기본값은 0입니다. 예시 1.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지정하여 복소수를 생성: z = complex(3, 4) print(z) # 출력: (3+4j) 여기서 3은 실수 부분이고, 4는 허수 부분입니다. 2. 실수 부분만 지정하면 허수..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classmethod()

파이썬 내장 함수, classmethod()파이썬의 내장 함수 classmethod()는 메서드를 클래스 메서드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클래스 메서드는 클래스 자체를 첫 번째 인자로 받으며, 클래스의 상태나 클래스 변수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스턴스가 아니라 클래스 자체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classmethod() 함수의 문법classmethod(function)function: 클래스 메서드로 변환할 함수입니다.클래스 메서드란?클래스 메서드는 클래스 자체를 인자로 받아 클래스 레벨에서 동작하는 메서드입니다. 클래스 메서드는 인스턴스가 없어도 호출할 수 있으며, 첫 번째 인자로 클래스 객체를 받습니다. 이를 통해 클래스 변수를 조작하거나 클래스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을..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chr(i)'

파이썬 내장 함수 'chr(i)'파이썬의 내장 함수 chr()는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정수)를 받아서 해당하는 문자(character)를 반환합니다. 즉, 정수값을 문자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chr() 함수의 문법chr(i)i: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수 값. 이 값은 0에서 1,114,111 (0x10FFFF) 사이의 값을 가져야 합니다. 이 범위는 유니코드의 유효한 범위를 의미합니다.반환 값chr()는 입력받은 정수 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합니다. 이 정수는 유니코드 표준을 따르며, ord() 함수의 반대 역할을 수행합니다.예시예시 1: 알파벳 변환# 정수 97은 유니코드에서 소문자 'a'에 해당print(chr(97)) # 출력: 'a'# 정수 65는 유니코드에서 대문자 'A'에 ..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setattr()'

파이썬 내장 함수 'setattr()'파이썬의 내장 함수 setattr()는 객체에 동적으로 속성을 추가하거나 기존 속성의 값을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동적으로 객체 속성을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setattr() 함수의 문법setattr(object, name, value)object: 속성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객체.name: 추가하거나 수정할 속성의 이름 (문자열로 전달).value: 해당 속성에 설정할 값.동작 원리setattr() 함수는 객체에 지정한 이름의 속성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며, 만약 해당 속성이 이미 존재한다면 그 값을 변경합니다.만약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됩니다.예시 1: 객체에 속성 추가하기class MyClass: passobj = My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