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8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setattr()'

파이썬 내장 함수 'setattr()'파이썬의 내장 함수 setattr()는 객체에 동적으로 속성을 추가하거나 기존 속성의 값을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동적으로 객체 속성을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setattr() 함수의 문법setattr(object, name, value)object: 속성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객체.name: 추가하거나 수정할 속성의 이름 (문자열로 전달).value: 해당 속성에 설정할 값.동작 원리setattr() 함수는 객체에 지정한 이름의 속성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며, 만약 해당 속성이 이미 존재한다면 그 값을 변경합니다.만약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됩니다.예시 1: 객체에 속성 추가하기class MyClass: passobj = MyCl..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delatter()

파이썬 내장 함수, delatter()파이썬의 내장 함수 delattr()는 객체의 속성을 삭제할 때 사용됩니다. 객체의 특정 속성을 제거하고자 할 때 유용하며, 동적으로 속성을 관리할 때 활용됩니다.delattr() 함수의 문법delattr(object, name)object: 속성을 제거할 객체.name: 제거할 속성의 이름. 이 값은 문자열로 전달됩니다.동작 원리delattr()는 del object.name 구문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즉, 객체에서 지정한 속성을 삭제하며, 삭제하려는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AttributeError가 발생합니다.예시class MyClass: def __init__(self): self.attribute = "Hello"obj = MyClass(..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bytes([source[, encoding[, errors]]])

파이썬 내장 함수, bytes([source[, encoding[, errors]]])파이썬의 내장 함수 bytes()는 바이트 객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바이트 객체는 불변(immutable) 시퀀스로, 파이썬에서는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할 때 주로 유니코드를 사용하지만, 파일, 네트워크 데이터, 바이너리 데이터를 다룰 때는 바이트로 처리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bytes() 함수는 이러한 바이트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쓰입니다.bytes() 함수의 문법bytes([source[, encoding[, errors]]])매개변수 설명source (선택 사항): 바이트 객체로 변환할 데이터입니다. 문자열, 정수, 리스트, 튜플, 바이트열 등 여러 타입의 데이터를 바이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encodi..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bytearray'

파이썬 내장 함수 'bytearray'파이썬의 내장 함수 bytearray()는 가변형 바이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bytes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은 bytes는 불변(immutable)인 반면, bytearray는 가변(mutable)이라는 것입니다. 즉, bytearray는 생성된 이후에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bytearray()의 기본적인 사용법bytearray([source[, encoding[, errors]]])source: 바이트 배열로 변환할 데이터의 소스입니다. 이 값은 문자열, 정수, 또는 이터러블 객체일 수 있습니다.encoding: 문자열 소스를 사용할 경우, 이를 바이트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딩입니다.errors: 인코딩/디코딩 오류가 발생했을 때 처리 방식을 ..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breakpoint

파이썬 내장 함수 breakpoint파이썬의 breakpoint() 함수는 디버깅을 도와주는 매우 유용한 내장 함수입니다. 파이썬 3.7부터 도입된 이 함수는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다가 특정 지점에서 실행을 중단하고, 그 시점에서 코드의 상태를 살펴보거나 변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breakpoint() 함수는 파이썬의 기본 디버거인 PDB(Python Debugger)를 자동으로 실행합니다.기본 사용법breakpoint()는 호출되는 즉시 PDB를 실행하며, 디버깅 세션이 시작됩니다. 디버거 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n: 다음 줄로 넘어가기s: 함수 안으로 들어가기c: 계속 실행q: 디버거 종료p: 변수 출력 (예: p 변수명)예제def test_functio..

[파이썬] 파이썬에서 특수 매서드란?

파이썬에서 특수 매서드란?특수 메서드(또는 매직 메서드, 던더 메서드라고도 불림)는 Python에서 클래스에 정의할 수 있는 특별한 메서드로, 특정 연산자나 내장 함수가 객체에 대해 호출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입니다. 이 메서드들의 이름은 보통 두 개의 밑줄(__)로 시작하고 끝납니다. 특수 메서드를 통해 Python의 객체들이 예상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두 개의 객체를 더할 때 +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Python이 객체 내부에서 __add__()라는 특수 메서드를 호출하여 그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즉, a + b는 a.__add__(b)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입니다.몇 가지 중요한 특수 메서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__i..

[파이썬 연습] 파이썬 내장 함수 bool 연습

다음 연습 문제를 풀어보세요 다음 두 수를 bool() 클래스를 사용하여 num_1이 num_2보다 크거나 같은 수인지 확인하세요.num_1 = 20num_2 = 40  풀이num_1 = 20num_2 = 40print(bool(num_1 >= num_2))   다음 두 수를 bool() 클래스와 not 연산자를 사용하여 num_1이 num_2보다 크거나 같은 수인지 확인하세요.num_1 = 20num_2 = 40  풀이num_1 = 20num_2 = 40print('1.', bool(not (num_1 >= num_2)))print('2.', not bool(num_1 >= num_2))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bool

파이썬 내장 함수 boolbool은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 인수로 전달된 값을 불리언 값인 True 또는 False로 변환합니다. 불리언 값은 논리 연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건문, 반복문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bool() 함수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값을 변환합니다.False로 평가되는 값:NoneFalse0 (정수, 부동 소수점 등 모든 숫자형의 0 값)빈 시퀀스 (빈 문자열 '', 빈 리스트 [], 빈 튜플 (), 빈 딕셔너리 {}, 빈 세트 set())위에 나열되지 않은 나머지 값은 모두 True로 평가됩니다.예제:print(bool(0)) # Falseprint(bool(1)) # Trueprint(bool("")) # Falseprin..

[파이썬 연습] 내장 함수 bin(x) 연습

내장 함수 bin(x) 연습문제1) 정수(int) 2를 bin() 함수를 사용하여 2진(binary) 문자로 변환하시오. 그리고 자료형을 확인하시오. 문제2) 정수 5를 format() 함수를 사용하여 이진문자로 변환하시오. 그리고 Python 표현방법 중 접두어 '0b'를 format() 함수를 사용하여 제거하시오. 문제3) 실수(float) 2.1을 bin() 함수를 사용하여 2진수(binary) 문자로 변환 가능한지 확인하시오. bin() 함수의 매개변수 x는 정수(int)이어야 합니다. 2.1은 실수(float)이기 때문에 TypeError가 발생합니다.

[내장 함수] 파이썬 내장 함수 bin(x)

파이썬 내장 함수 bin(x)Python의 내장 함수 bin(x)는 정수 x를 이진수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x 값을 이진수로 표현하고, 이진수 문자열 앞에 접두어 0b를 붙여 반환합니다. 이진수는 2진법(0과 1로 구성된 수)을 나타내며, 컴퓨터의 기본 수 체계입니다.사용법:bin(x)매개변수:x: 정수형(int) 값이어야 합니다. 정수 외의 값을 넣으면 TypeError가 발생합니다.반환 값:bin() 함수는 x를 이진수로 변환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반환되는 문자열은 항상 0b로 시작하여 이진수를 나타냅니다.예시:print(bin(10)) # 출력: '0b1010'print(bin(4)) # 출력: '0b100'print(bin(-12)) # 출력: '-0b1100'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