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9

ChatGPT의 플레이그라운드 Assistants

ChatGPT의 플레이그라운드 Assistants 플레이그라운드 웹사이트는 'platform.openai.com/playground'입니다.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만납니다. 화면 상단에는 'Playground'와 'Assistants'라는 두 개의 탭이 있으며, 'Assistants' 탭은 'Chat', 'Assistants Beta', 'Complete (Legacy)' 등의 서브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것은 사용자가 ChatGPT를 포함한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OpenAI의 웹 기반 플랫폼입니다. 'Create an assistant'를 클릭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AI 비서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Assistants API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A..

ChatGPT의 플레이그라운드

ChatGPT의 플레이그라운드 ChatGPT의 플레이그라운드는 사용자가 OpenAI의 강력한 인공지능 모델인 ChatGPT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플레이그라운드는 개발자, 연구자, 교육자, 그리고 일반 사용자들이 인공지능과의 대화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탐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기능 대화형 인터페이스: 사용자는 자연어를 사용해 ChatGPT와 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보를 얻거나, 특정 주제에 대한 의견을 묻거나, 창의적인 작업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프롬프트: 사용자는 특정 주제나 질문에 대해 맞춤형 대화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상태 유지 모드: 플레이그라운드는 대화의 맥락을 기억..

[Git] Git 스테이징 되돌리기, git reset

Git에서 스테이징 되돌리기 Git에서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에 추가된 변경 사항을 되돌리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git reset입니다. 이 명령어는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변경 사항들을 작업 디렉터리로 되돌립니다. 변경 사항들은 여전히 보존되지만, 스테이징 영역에서는 제거됩니다. 다음은 스테이징 된 변경 사항을 되돌리는 방법에 대한 예시입니다: 특정 파일의 스테이징을 취소하기 명령어: git reset HEAD 설명: 이 명령어는 에 해당하는 파일의 스테이징을 취소합니다. 파일은 수정된 상태로 남아 있지만, 스테이징 영역에서는 제거됩니다. 모든 변경 사항의 스테이징을 취소하기 명령어: git reset 설명: 특정 파일을 지정하지 않고 git reset만 사용하면, 스테이..

파이썬의 매직 코멘트

파이썬의 매직 코멘트 # -*- coding:utf-8 -*-는 파이썬 소스 파일의 첫 줄이나 두 번째 줄에 포함될 수 있는 매직 코멘트(magic comment)입니다. 이 매직 코멘트는 파이썬 인터프리터에게 해당 파일의 인코딩이 utf-8 임을 알려줍니다. 인코딩이란? 인코딩이란 문자를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UTF-8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니코드 인코딩 방식 중 하나이며, 모든 유니코드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 CP949는 한글 윈도우에서 널리 쓰이는 인코딩 방식으로, EUC-KR의 확장이며 주로 한글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파이썬 버전에 따른 인코딩 방식 차이 파이썬 2.x 시절에는 기본 인코딩이 ASCII였기 때문에, 유니..

[Git] Git 비교하기

Git 비교하기 Git을 사용하여 파일 내용의 변화를 비교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 작업은 코드 변경 사항을 검토하거나, 특정 변경 사항이 언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는 git diff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일반적인 사용 사례가 있습니다: 1. 작업 디렉터리와 스테이징 영역 사이의 차이 비교 명령어: git diff 설명: 이 명령어는 작업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파일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아직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지 않은 변경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스테이징 영역과 최근 커밋 사이의 차이 비교 명령어: git diff --staged 또는 git diff --cached 설명: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

파이썬의 한글 처리

파이썬의 한글 처리 파이썬은 유니코드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파이썬 3 이상 버전에서는 한글을 비롯한 대부분의 언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몇 가지 사항을 살펴봅니다. 문자열 선언 한글 문자열은 따옴표 안에 바로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 = "안녕하세요" print(s) 인코딩 파이썬 소스 파일은 기본적으로 UTF-8 인코딩을 사용합니다. 이는 한글 문자를 포함한 대부분의 유니코드 문자를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다른 인코딩을 사용하고 싶다면, 소스 파일의 첫 부분에 인코딩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 -*- coding: cp949 -*- 그러나 오늘날에는 대부분 UTF-8 인코딩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문자열 연산 한글 문자열도..

[Git] Git이 관리하는 세 가지 파일 상태

Git이 관리하는 세 가지 파일 상태 Git에서 파일은 크게 세 가지 상태로 관리됩니다: 수정됨(Modified), 준비됨(Staged), 커밋됨(Committed). 이 세 가지 상태는 Git의 파일 라이프사이클의 핵심 부분을 이루며, 파일이 이 상태들 사이를 이동하면서 버전 관리가 이루어집니다. 1. 수정됨(Modified) 설명: 파일이 수정됨 상태라는 것은 파일이 작업 디렉터리에서 변경되었지만, 아직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즉, 파일의 변경 사항이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커밋되기 전 상태입니다. 예시: 'README.md' 파일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거나 기존 내용을 수정했을 때, 이 파일은 수정됨 상태가 됩니다. 이 변경사항은 아직 Git에 의해 추적되고 있지 않습니다. 2...

파이썬 주석을 활용하는 방법

파이썬 주석 활용 파이썬에서 주석은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어떠한 이유로 코드의 일부분을 임시로 비활성화할 때 사용합니다. 주석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무시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 줄 주석(Single-line comment): # 기호를 사용하여 코드 뒤에 또는 독립적인 줄에 작성할 수 있습니다. 여러 줄 주석(Multi-line comment): ''' 또는 """ (3개의 단일 또는 이중 따옴표)를 사용하여 주석을 작성합니다. 이는 주로 여러 줄에 걸친 설명을 쓸 때 사용합니다. 한 줄 주석 사례: # 이 줄은 한 줄 주석입니다.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무시합니다. print("Hello, World!") # 이..

[Git] Git의 세 가지 작업 영역

Git의 세 가지 작업 영역 Git은 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개발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작업 영역을 사용합니다: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 그리고 저장소(Repository). 이러한 영역들을 통해 파일의 수정, 추가, 삭제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설명: 작업 디렉토리는 사용자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실제 파일들이 위치한 곳입니다. 이곳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예시: 당신이 '프로젝트A'에 대해 작업하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프로젝트A' 폴더 내에서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거나 기존의 코드를 수정하는 모든 활동은 작..

파이썬 설치 완료 화면의 'Disable path length limit'에 대하여

파이썬 설치 완료 화면의 'Disable path length limit' 다음 이미지는 설치 마지막 단계입니다. 이 화면에는 "Disable path length limit"이라는 옵션이 있는데, 이 옵션은 윈도우 시스템에서 파일 경로 길이 제한을 해제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로 최대 길이 제한 윈도우에서는 오래전부터 MAX_PATH라는 상수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 내에서 경로의 최대 길이를 정의해 왔습니다. 이 상수의 값은 260자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경로명(디렉터리와 파일명을 포함한 전체 경로)이 260자를 넘으면, 시스템이 이를 처리하지 못하고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오래된 호환성 문제로 인해 유지되어 온 제한입니다. 옵션의 의미 "Disable path length 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