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9

[프로그램 언어 타입] 파이썬과 자바스크립트의 비교

파이썬과 자바스크립트의 비교파이썬과 자바스크립트는 둘 다 동적 타입 언어에 속하지만, 타입 시스템과 동작 방식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이 두 언어의 타입 시스템을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공통점동적 타입 언어 (Dynamically Typed Language):파이썬과 자바스크립트 모두 동적 타입 언어입니다. 변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하지 않고, 값이 할당될 때 타입이 결정됩니다.파이썬 예시:x = 10x = "hello"자바스크립트 예시:let x = 10;x = "hello";차이점1. 강한 타입 언어 (Strongly Typed) vs 약한 타입 언어 (Weakly Typed)파이썬은 강한 타입 언어입니다. 타입 간의 암묵적 변환이 허용되지 않으며, 타입이 맞지 않는 경..

[파이썬] 파이썬은 '동적 타입 언어'이면서 '강한 타입 언어'

파이썬은 '동적 타입 언어'이면서 '강한 타입 언어'파이썬은 '동적 타입 언어'이면서 '강한 타입 언어'입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파이썬의 타입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각각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동적 타입 언어 (Dynamically Typed Language)동적 타입 언어는 변수의 타입이 런타임(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결정되는 언어를 의미합니다. 즉, 변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할 필요가 없고, 변수에 어떤 값을 할당하느냐에 따라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됩니다.특징:타입 선언 필요 없음:변수 선언 시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x = 10 # 정수형y = "hello" # 문자열z = 3.14 # 실수형유연성:변수의 타입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연습] 주피터 노트북에서 콘솔(Console)과 터미널(Terminal)

주피터 노트북에서 콘솔(Console)과 터미널(Terminal)주피터 노트북에서 파일 메뉴에서 제공되는 "Console"과 "Terminal"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Console콘솔 (Console):기능: 주피터 콘솔은 주피터 노트북의 셀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환경입니다. 주피터 콘솔에서는 코드 실행, 디버깅, 데이터 탐색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대상 언어: 주피터 콘솔은 Python, R, Julia 등 주피터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커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인터페이스: 주피터 노트북의 셀과 비슷하게 작동하며, 주피터 노트북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단일 셀 기반으로 코드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주요 사용 사례:빠른 코드 테스트데이터 분석디버깅주피..

[파이썬 연습] 주피터 노트북 실행하고 간단 예제 실행

주피터 노트북 실행하고 간단 예제 실행전 시간에 설명했던 원하는 폴더에서 Jupyter Notebook을 이용하여 간단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코드 설명필요한 라이브러리 임포트numpy: 수치 연산을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pandas: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matplotlib.pyplot: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데이터 생성np.random.rand(50): 0과 1 사이의 랜덤한 숫자 50개를 생성합니다.data = np.random.rand(50)Pandas Series로 변환pd.Series(data): 생성한 랜덤 데이터를 Pandas Series 객체로 변환합니다. Series는 1차원 배열로, 인덱스를 갖는 데이터 구조입니다.seri..

[파이썬 연습] 주피터 노트북을 원하는 폴더에서 시작하기

주피터 노트북을 원하는 폴더에서 시작하기주피터 노트북을 원하는 위치(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에서 시작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물론 매 작업 중에 폴더를 지정하고 이름을 정해서 저장할 수 있지만 학습 위치가 정해진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원하는 폴더에서 주피터 노트북이 실행되도록 합니다. 파일 위치 열기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올라오는 시작 프로그램에서 'Jupyter Notebook'을 선택하고 우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이 서브 메뉴가 나옵니다. 우클릭이 아닌 좌클릭은 바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때문에 섬세한 설정을 물건너갑니다. '자세히 > 파일 위치 열기'를 선택합니다.실행할 위치의 파일을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우클릭'을 합니다. 대화창에서 '속성'을 선택하여 '대상'을 다음과 같이 정합니다. '대상'이 바로 작..

[컴퓨터] 기계어의 연산 코드(Opcode)와 오퍼랜드(Operand)

기계어의 연산 코드(Opcode)와 오퍼랜드(Operand)연산 코드(Opcode)와 오퍼랜드(Operand)는 기계어 명령어의 두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기계어 명령어는 CPU가 수행할 특정 작업을 지시하는데,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는 이 명령어의 구조와 의미를 정의합니다.연산 코드 (Opcode)연산 코드는 CPU가 수행할 작업(연산)을 지정하는 명령어의 부분입니다. 각 연산 코드는 특정 작업을 나타내며, 이는 CPU의 명령어 집합(Instruction Set Architecture, ISA)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연산 코드는 주로 비트 패턴으로 표현되며, CPU가 해석하여 수행할 작업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x86 아키텍처에서 MOV 명령어는 데이터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연산을 수행..

[컴퓨터] Windows10에서 리눅스 사용하는 방법

Windows10에서 리눅스 사용하는 방법Windows 10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려면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WSL을 통해 Windows 10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가상 머신을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WSL을 사용하는 방법과 가상 머신을 사용하는 방법을 모두 설명하겠습니다.방법 1: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사용WSL을 사용하면 Windows 10에서 리눅스 커널을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1. WSL 활성화Windows 기능 켜기/끄기 메뉴에서 WSL을 활성화합니다.검색창에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컴퓨터] 기계어(Machine Language)란?

기계어(Machine Language)란?기계어(Machine Language)는 컴퓨터의 CPU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코드입니다. 기계어는 2진수(이진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명령어는 특정한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기계어는 매우 저수준의 언어로,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매우 어렵지만, CPU가 직접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기계어의 주요 특징저수준 언어: 기계어는 CPU 명령어 집합(Instruction Set Architecture, ISA)에 직접 대응되며, CPU가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입니다.바이너리 형식: 기계어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 형태로 표현됩니다. 이는 메모리와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방식과 일치합니다.고정된 명령어 길이: 각 명령어..

[컴퓨터]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란?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란?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직접 소통하는 저수준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어셈블리어는 기계어(Machine Language)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프로그래머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계어 명령어를 기호와 코드로 표현합니다. 어셈블리어는 CPU와 메모리, 그리고 기타 하드웨어와의 상호작용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어셈블리어의 주요 특징저수준 언어: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직접적으로 대응되며, 각 명령어는 CPU의 특정 작업과 일치합니다. 이는 고급 언어에 비해 더 복잡하고 세부적인 하드웨어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하드웨어 종속성: 어셈블리어는 특정 CPU 아키텍처에 종속적입니다. 즉..

[컴퓨터] 목적 파일과 실행 파일의 비교

목적 파일과 실행 파일의 비교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목적 파일(Object file)과 실행 파일(Executable file)은 두 가지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이들 각각은 프로그램이 실행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두 파일 유형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1. 목적 파일 (Object File)목적 파일은 소스 코드 파일(예: C, C++, Java 등의 코드)이 컴파일러에 의해 처음 컴파일된 결과물입니다. 이 파일은 아직 실행할 수 없는 중간 단계의 파일로, 기계어 코드를 포함하지만, 전체 프로그램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목적 파일들과 링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특징:중간 코드 포함: 소스 코드가 기계어로 변환되어 있지만, 완전한 실행 파일이 되기 위한 추가 링킹이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