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를 위한 코딩/십대를 위한 파이썬

06. 시퀀스 자료형 개요와 문자열(str)

forSilver 2025. 3. 27. 15:32
반응형

📘 Day 06. 시퀀스 자료형 개요와 문자열(str)


1. 시퀀스 자료형(Sequence Type) 개요

📌 프로그램 구성 요소

  • 데이터(data): 메모리에 저장된 값
  • 알고리즘(algorithm): 값을 처리하는 명령어들의 순서

🧱 자료구조란?

  • 여러 개의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 주요 연산: 생성, 삭제, 삽입, 검색, 정렬, 순회 등

🎯 파이썬에서의 자료형 분류

분류 특징 예시

기본 자료형 (Scalar) 하나의 값만 저장 int, float, bool
시퀀스 자료형 (Vector) 여러 값 저장 가능 str, list, tuple, dict, set

🧾 시퀀스 자료형 종류

자료형 설명 변경 가능 여부

str 문자열 불변(immutable)
tuple 여러 값을 묶음 불변(immutable)
list 여러 값을 묶음 가변(mutable)
dict 키-값 쌍으로 저장 가변(mutable)
set 중복 없는 집합 가변(mutable)

※ str은 문자들의 시퀀스이지만 기본 자료형처럼 자주 사용됨


🔄 공통 연산

  • 인덱싱: 시퀀스[위치] → 특정 위치 값 읽기
  • 슬라이싱: 시퀀스[시작:끝:간격] → 부분 추출
  • 연결: + 연산자 사용
  • 반복: * 연산자 사용
  • 포함 확인: in 연산자
  • 길이 계산: len() 함수

2. 문자열(str)

🧾 생성 방법

s1 = 'Hello'
s2 = "World"
s3 = '''멀티라인 문자열'''
s4 = str(123)  #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 단일/이중 따옴표: 일반 문자열 생성
  • 삼중 따옴표(''' 또는 """): 줄바꿈 포함, 주석처럼 사용 가능
  • str() 함수: 형변환용

🔍 문자열 인덱싱(Indexing)

text = "Python"
print(text[0])   # 'P'
print(text[-1])  # 'n' (역순 인덱스)
  • 인덱스는 0부터 시작
  • 음수 인덱스는 뒤에서부터 역방향으로 접근

✂️ 문자열 슬라이싱(Slicing)

text = "Hello, Python"
print(text[0:5])     # 'Hello'
print(text[7:])      # 'Python'
print(text[::-1])    # 역순 출력
  • [시작:끝:간격]
  • 끝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음
  • 생략 가능: [:5], [2:], [::-1]

🔗 문자열 연결과 반복

s1 = "Hi"
s2 = "There"
print(s1 + s2)    # HiThere
print(s1 * 3)     # HiHiHi
  • + 연산자: 연결
  • * 연산자: 반복

🔎 포함 여부 확인

s = "banana"
print("a" in s)       # True
print("z" not in s)   # True
  • in, not in 연산자 사용 → 결과는 True 또는 False

📏 문자열 길이 확인

msg = "Hello"
print(len(msg))   # 5
  • len() 함수 사용 → 문자열의 문자 개수 반환

✅ 오늘의 정리

항목 내용

시퀀스 자료형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list, str, tuple 등)
str 문자열을 표현하는 불변형 시퀀스 자료형
인덱싱 특정 위치의 문자 접근 (str[0], str[-1])
슬라이싱 부분 문자열 추출 (str[1:4])
연결/반복 +, * 연산자 사용
포함 확인 in, not in
길이 확인 len() 함수 사용

다음 차시에서는 **튜플(tuple)과 리스트(list)**의 특징과 사용법을 배우고, 시퀀스 자료형 간의 차이를 비교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