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를 위한 코딩/십대를 위한 파이썬

파이썬 변수와 동적 자료형의 이해

forSilver 2025. 1. 11. 05:17
반응형

파이썬 변수와 동적 자료형의 이해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변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파이썬은 **동적 자료형(dynamic typing)**을 지원하여 유연한 변수 관리가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변수의 개념과 활용 방법, 동적 자료형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변수(Variable)란?


변수는 메모리의 저장 위치에 이름을 부여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저장된 값을 불러오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제:


number = 10  # 변수에 10을 저장
print(number)  # 변수의 값 출력

변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2. 파이썬의 동적 자료형(Dynamic Typing)


파이썬은 변수의 자료형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동적 자료형을 지원합니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면 그 값에 따라 자료형이 결정되므로, 별도의 자료형 선언이 필요 없습니다.

예제:


x = 10       # 정수(int)
y = 3.14     # 실수(float)
z = "hello"  # 문자열(str)

장점


변수에 값을 저장하면 자동으로 자료형이 결정되므로 편리하고 직관적입니다.

코드 작성 속도가 빠르고 간결합니다.


단점


자료형이 미리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정적 언어에 비해 느릴 수 있습니다.

변수의 자료형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어, 자료형 관리에 신중해야 합니다.


3. 변수 생성과 사용법


변수는 값을 저장(치환)하는 문장을 통해 생성합니다.

예제


int_number = 5  # 정수 저장
number2 = int_number  # 변수 간 치환
print(number2)  # 5 출력


4. 변수 이름 작성 규칙


변수 이름은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 규칙을 따릅니다.

1. 사용 가능한 문자


영어 대/소문자, 숫자, _(언더바)만 사용 가능.

예: my_variable, count1

2. 변수 이름 시작 규칙


영어 대/소문자 또는 _(언더바)로 시작해야 함.

숫자로 시작 불가.

예: _name, data_1 (가능), 1data (불가)

3. 대/소문자 구분


Name과 name은 다른 변수로 취급.

예:


age = 20
Age = 30
print(age, Age)  # 20, 30

4. 예약어 사용 금지


파이썬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음.

예: if, else, while 등.

사용 여부 확인: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5. 의미 있는 이름 사용


변수의 성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명사나 명사구 활용.

예: user_name, total_price

6. 여러 단어 조합 시 표기법


snake notation: 각 단어를 _(언더바)로 구분 (예: int_number)

camel notation: 두 번째 단어부터 첫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 (예: intNumber)


5. 변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변수를 정의하지 않고 사용하면 NameError가 발생합니다.

오류 예제


print(score)  # 오류: NameError: name 'score' is not defined

오류 해결 방법


1. 변수 정의 확인: 변수명을 반드시 먼저 선언해야 합니다.

2. 오타 확인: 변수 이름 철자를 정확히 입력했는지 점검합니다.


6. 마무리


파이썬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도구로, 동적 자료형을 통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 이름 작성 규칙을 준수하고 명확한 의미를 담은 이름을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이제 변수와 자료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더 복잡한 데이터 처리와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