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프로그램 구조 이해하기
파이썬은 간결하고 직관적인 문법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다른 언어와 비교했을 때 특별한 코드 블록 구분 기호(예: 중괄호 {})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신 들여쓰기(indentation)를 활용하여 코드의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1. 명령어 작성 순서
파이썬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별도의 시작 지점이나 종료 기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성 순서가 곧 프로그램의 흐름을 결정합니다.
예제:
print("Hello, World!") # 화면에 'Hello, World!' 출력
위 예제는 단 한 줄의 명령어만으로 동작하며, 코드의 의미가 직관적으로 전달됩니다.
2. 들여쓰기의 중요성
파이썬에서는 코드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기 위해 콜론(:)을 사용합니다. 콜론 다음 줄부터는 일정한 간격(기본 4칸)으로 들여쓰기를 해야 합니다. 이 들여쓰기는 코드 블록의 종속 관계를 나타내므로 반드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예제:
if True: # 조건이 참일 경우
print("True입니다.") # 들여쓰기 필수
else:
print("False입니다.")
위 예제에서 if 문과 else 문 아래의 코드는 들여쓰기로 구분되며, 각각의 코드 블록에 속하게 됩니다.
들여쓰기 오류 예시:
if True:
print("True입니다.") # 들여쓰기 오류 발생
이 경우 파이썬은 구문 오류(SyntaxError)를 발생시킵니다.
3. 주석(Comment)의 활용
파이썬에서는 # 기호를 사용하여 주석을 작성합니다. 주석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기록하는 용도로 활용됩니다.
예제:
# 두 수의 합을 계산하는 코드
a = 10
b = 20
result = a + b # 결과 저장
print(result) # 결과 출력
주석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프로그램의 동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프로그램 구조 요약
1. 명령어 나열 - 코드는 순서대로 실행된다.
2. 콜론(:)과 들여쓰기 - 코드 블록 구분을 위해 일관된 들여쓰기(4칸)를 사용한다.
3. 주석 활용 - 코드의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해 #을 사용하여 주석을 작성한다.
5. 마무리
파이썬은 단순하지만 명확한 코드 구조를 요구합니다. 들여쓰기를 통해 코드 블록을 구분하고, 주석을 통해 코드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는 습관을 들이면 더욱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이 기본 원칙을 충실히 따른다면, 파이썬을 활용한 프로그램 작성이 한결 수월해질 것입니다.
'십대를 위한 코딩 > 십대를 위한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본 자료형과 값의 형태 (1) | 2025.01.10 |
---|---|
파이썬 기본 자료형과 데이터 처리 (0) | 2025.01.09 |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의 파이썬 학습 지도 컨셉 (4) | 2024.12.28 |
파이썬의 주요 이점 (3) | 2024.12.27 |
파이썬과 다른 프로그램 언어의 차이 (1)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