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ed() 2

파이썬 리스트 정렬 완전 정복 – sort(), sorted(), key 옵션까지

파이썬 리스트 정렬 완전 정복 – sort(), sorted(), key 옵션까지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정렬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하나는 리스트 자체를 정렬하는 .sort() 메서드이고,다른 하나는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하는 sorted() 함수입니다.이 글에서는 두 방법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고,정렬 기준을 지정할 수 있는 key 옵션까지 포함해 실용적인 예제를 함께 소개합니다.1. 리스트 자체를 정렬하는 sort()L = [1, 6, 3, 8, 6, 2, 9]L.sort()print(L) # [1, 2, 3, 6, 6, 8, 9].sort()는 리스트 객체에 직접 호출합니다.정렬은 **제자리(in-place)**에서 이루어져 리스트 L 자체가 바뀝니다.반환값은 None 이므로 결..

[파이썬] `sorted()` 함수와 `sort()` 메서드

sorted() 함수와 sort() 메서드sorted() 함수와 sort() 메서드는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정렬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둘 다 리스트를 정렬하는 데 사용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를 각각의 특징과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sorted() 함수특징:새로운 리스트 반환: sorted() 함수는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원래의 리스트는 변경되지 않습니다.임의의 반복 가능한 객체 정렬 가능: sorted() 함수는 리스트뿐만 아니라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등 반복 가능한(iterable) 객체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다양한 매개변수 지원:key: 정렬 기준을 지정하는 함수reverse: 정렬 순서를 역순으로 설정 (기본값은 False)예제:# 리스트 정렬numb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