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숏폼(Short-form)”과 “숏츠(Shorts)”
1. 숏폼(Short-form)
- 의미: ‘숏폼’은 영어 Short-form content의 줄임말로, 짧은 형식의 콘텐츠 전반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 형식: 영상뿐 아니라 글, 이미지, 오디오까지 모두 포함합니다. 보통 1분~3분 내외 영상, 짧은 문장·짧은 카드뉴스 등이 숏폼에 속합니다.
- 범위: 플랫폼에 상관없이, TikTok, Instagram Reels,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 등 어디서나 제작되는 짧은 콘텐츠 전체를 가리킬 수 있습니다.
- 예시: 틱톡 댄스 영상, 인스타 릴스, 네이버 숏폼 뉴스, 유튜브 쇼츠 모두 ‘숏폼’의 일종입니다.
2. 숏츠(Shorts)
- 의미: ‘숏츠’는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짧은 영상 서비스(YouTube Shorts)**를 말하는 고유명사입니다.
- 형식: 보통 세로형 60초 이하 영상을 기본 형식으로 하며, 유튜브 앱에서 숏츠 전용 피드가 따로 제공됩니다.
- 범위: 유튜브라는 특정 플랫폼 안에서만 쓰이는 명칭이므로, ‘숏츠 = 유튜브 숏폼 서비스’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예시: 유튜브에서 “Shorts” 표시가 붙은 영상들.
3. 차이 정리
구분 | 숏폼 | 숏츠 |
의미 | 짧은 콘텐츠 전반을 가리키는 일반 명칭 |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짧은 영상 서비스(고유명) |
형식 | 글, 이미지, 오디오, 영상 모두 포함 | 세로형 영상, 60초 내외 |
범위 | 플랫폼 전체(틱톡, 인스타, 네이버 등) | 유튜브 플랫폼 한정 |
예시 | 틱톡 영상, 인스타 릴스, 카드뉴스 | 유튜브 Shorts 영상 |
즉, 숏폼은 개념(장르)이고, 숏츠는 유튜브 서비스명(브랜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