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
파이썬에서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는 조건에 따라 값을 선택하는 간결한 표현식입니다. 정식 명칭은 조건 표현식(conditional expression)입니다.
✅ 기본 문법
<값1> if <조건> else <값2>
동작 원리
- <조건>이 True이면 <값1>이 선택됩니다.
- <조건>이 False이면 <값2>가 선택됩니다.
✅ 예제
1. 숫자 비교 예시
a = 10
result = "크다" if a > 5 else "작다"
print(result) # 출력: 크다
2. 짝수/홀수 판단
num = 7
msg = "짝수" if num % 2 == 0 else "홀수"
print(msg) # 출력: 홀수
3. 함수 안에서 사용
def get_grade(score):
return "합격" if score >= 60 else "불합격"
print(get_grade(75)) # 출력: 합격
print(get_grade(40)) # 출력: 불합격
✅ if문과의 차이점
항목 | 삼항 연산자 | 일반 if문 |
사용 목적 | 값을 선택하거나 변수에 할당할 때 | 여러 문장 실행이 필요할 때 |
코드 길이 | 짧고 간결함 | 비교적 길어질 수 있음 |
가독성 | 단순한 경우에 좋음 | 복잡한 로직일 경우 더 명확함 |
예:
# 삼항 연산자
status = "성인" if age >= 18 else "미성년자"
# if문
if age >= 18:
status = "성인"
else:
status = "미성년자"
✅ 중첩 삼항 연산자 (권장 ❌)
grade = "A" if score > 90 else "B" if score > 80 else "C"
- 이렇게 중첩해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지므로 일반적인 if-elif-else문이 더 좋습니다.
✅ 요약
- 삼항 연산자는 조건에 따라 값을 선택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if ~ else문을 한 줄로 표현할 수 있어 코드가 간결해집니다.
- 단, 복잡한 조건에는 사용을 자제하고 가독성을 우선 고려해야 합니다.
'실버를 위한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Py와 Pandas의 차이는? (2) | 2024.12.14 |
---|---|
'import pizza'와 'from pizza import *'의 차이 (1) | 2024.12.07 |
[파이썬] PyCharm 리소스 선언 확인 (1) | 2024.12.06 |
클래스의 매개변수 self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4.12.05 |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핵심, 클래스(class) (0)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