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에서 기초 연산: 사칙 연산과 괄호
파이썬은 기본적인 수학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내장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사칙 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괄호를 사용해 연산 우선순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1. 사칙 연산
파이썬에서 지원하는 기본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산자 | 연산 | 예제 | 결과 |
---|---|---|---|
+ |
덧셈 | 3 + 5 |
8 |
- |
뺄셈 | 10 - 4 |
6 |
* |
곱셈 | 2 * 3 |
6 |
/ |
나눗셈 | 8 / 2 |
4.0 |
// |
몫 (정수 나눗셈) | 8 // 3 |
2 |
% |
나머지 | 8 % 3 |
2 |
** |
제곱 | 2 ** 3 |
8 |
2. 괄호를 사용한 연산 우선순위 제어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연산 우선순위에 따라 수식을 평가합니다. 괄호를 사용하여 연산 순서를 명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기본 연산 우선순위
- 괄호:
()
안의 연산이 가장 먼저 수행됩니다. - 제곱: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평가) - 곱셈/나눗셈:
*
,/
,//
,%
- 덧셈/뺄셈:
+
,-
예제
# 기본 연산 순서
result1 = 3 + 5 * 2 # 곱셈이 먼저: 5 * 2 = 10, 이후 3 + 10 = 13
result2 = (3 + 5) * 2 # 괄호가 먼저: 3 + 5 = 8, 이후 8 * 2 = 16
# 출력
print(result1) # 13
print(result2) # 16
3.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른 주의사항
괄호를 사용하지 않으면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잘못된 코드
result = 10 - 2 * 3 # 뺄셈보다 곱셈이 먼저 수행됨
print(result) # 4
올바른 코드
result = (10 - 2) * 3 # 괄호를 사용해 뺄셈을 먼저 수행
print(result) # 24
4. 실습 예제
1. 사칙 연산 연습
a = 10
b = 3
print(a + b) # 13 (덧셈)
print(a - b) # 7 (뺄셈)
print(a * b) # 30 (곱셈)
print(a / b) # 3.333... (나눗셈)
print(a // b) # 3 (정수 몫)
print(a % b) # 1 (나머지)
print(a ** b) # 1000 (제곱)
2. 괄호로 연산 우선순위 제어
# 괄호 없이
result1 = 5 + 2 * 3 # 2 * 3 = 6, 이후 5 + 6 = 11
# 괄호로 우선순위 지정
result2 = (5 + 2) * 3 # 5 + 2 = 7, 이후 7 * 3 = 21
print(result1) # 11
print(result2) # 21
3. 복잡한 연산 순서 제어
result = (10 + 2) ** 2 // (6 - 4) * (3 + 1)
# 괄호 순서:
# (10 + 2) = 12
# 12 ** 2 = 144
# (6 - 4) = 2
# 144 // 2 = 72
# (3 + 1) = 4
# 72 * 4 = 288
print(result) # 288
'실버를 위한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if, elif, else 문 (1) | 2024.12.01 |
---|---|
파이썬의 다양한 연산자 (1) | 2024.11.30 |
튜플(Tuple), 리스트(List), 딕셔너리(Dictionary)의 비교 (1) | 2024.11.28 |
Python에서 -c 옵션 (2) | 2024.11.27 |
PyCharm의 팝업 메뉴에서 'new' (2)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