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버를 위한 코딩

[컴퓨터]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by forSilver 2024. 5. 3.
반응형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는 주로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언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식에 있어 명확한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방식은 특정한 상황과 요구 사항에 따라 장단점을 갖습니다.

컴파일 언어 (Compiled Languages)

컴파일 언어는 소스 코드를 작성한 후 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전체 변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변환 과정을 컴파일이라고 하며, 컴파일러라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컴파일은 일반적으로 개발 과정에서 한 번 수행되며, 생성된 기계어 코드는 실행 파일 형태로 저장됩니다.

  • 장점:
    •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 컴파일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기계어 코드가 생성되므로, 실행 시 추가적인 변환 없이 직접 실행됩니다.
    • 보안이 뛰어납니다. 소스 코드가 기계어로 변환되어 배포되기 때문에 원본 코드를 복원하기 어렵습니다.
  • 단점:
    • 개발 과정에서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수정 사항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매번 전체를 다시 컴파일해야 합니다.
    • 플랫폼에 종속적일 수 있습니다. 각 운영 체제나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맞게 컴파일해야 합니다.
  • 예시: C, C++, Go, Rust

인터프리터 언어 (Interpreted Languages)

인터프리터 언어는 소스 코드를 작성한 후 이를 직접 실행시키는 인터프리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한 줄씩 읽고 실행합니다. 컴파일 과정 없이 소스 코드가 실행 시점에 바로 해석되어 실행됩니다.

  • 장점:
    • 개발 및 테스트 과정이 빠르고 간단합니다. 코드를 수정한 후 바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플랫폼 독립적입니다. 인터프리터만 있으면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실행 시마다 소스 코드를 해석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처리 시간이 필요합니다.
    • 소스 코드가 그대로 배포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예시: Python, Ruby, JavaScript, PHP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의 통합 사용

현대의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순수한 컴파일 언어나 인터프리터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Java는 소스 코드를 바이트코드라는 중간 형태로 컴파일한 다음, 이 바이트코드를 JVM(Java Virtual Machine)이 인터프리트하여 실행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컴파일 언어의 성능과 인터프리터 언어의 이식성 및 개발 편의성을 결합합니다.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를 통합 사용하는 Java

정리

각각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실행 방식은 특정 상황에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과 개발자의 선호에 따라 적절한 언어와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